본문 바로가기
국내 주식 분석

우듬지팜 주가 전망 사업현황 실적 분석 투자포인트에 대한 상세한 설명

by stockstraight 2024. 6. 6.
반응형
우듬지팜 썸네일

 
우듬지팜은 2011년 5월 영농조합법인으로 설립되어 신선식품 및 단순 가공식품 도매업을 영위하는 회사입니다.

2013년 4,000평의 스마트팜 비닐 온실을 준공하고, 2015년에는 8,000평 규모의 첨단 스마트팜 시스템이 적용된 대형 온실을 건설했습니다.
 
이 글을 통해 최근 여러 기회와 리스크 요인들이 병존하는 우듬지팜에 대해 알아보고 실적과 향후 주가전망에 대해 분석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 우듬지팜에 주목하는 이유
  • 주요 주주 및 지배구조
  • 종속회사 현황
  • 매출 구성 및 사업현황
  • 투자포인트
  • 실적 분석 및 전망
  • 주가 전망 및 리스크 요인
  • 결론

 

우듬지팜에 주목하는 이유

 
2017년 농업회사법인으로 전환하였으며, 2019년에는 한국형 반밀폐온실을 구축하여 토마토를 재배하고 스테비아 토마토인 '토망고'를 론칭하며 큰 성장을 이루었습니다.
 
2023년 매출액은 566억원으로, 이는 2019년 114억원에서 크게 성장한 수치입니다.
 
이 성장을 바탕으로 2023년 9월 하나금융20호기업인수목적(SPAC)과 합병하여 코스닥 시장에 상장하였습니다.
 

주요 주주 및 지배구조

 
2023년 기준으로 우듬지팜의 최대주주는 창업주인 김호연으로, 그는 지분 39.1%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설립 이후 최대주주 변경 없이 안정적인 지배구조를 유지하고 있으며, 임원 및 계열회사 임원이 0.3%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어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 지분율은 총 39.4%입니다.
 
이러한 안정적인 지배구조는 회사의 장기적인 성장과 안정성을 뒷받침합니다.
 

종속회사 현황

 
우듬지팜은 2023년 기준으로 2개의 종속회사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2022년 12월부터 종속회사로 편입된 우듬지프레시는 주스와 샐러드 등 식품가공 사업을 영위 중이며, 2023년 11월 종속회사로 편입된 우듬지이엔씨는 스마트팜 시공 사업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우듬지이엔씨의 설립으로 우듬지팜은 스마트팜의 시공부터 작물 재배까지 가능한 원스탑 솔루션 기업이 되었습니다.
 

매출 구성 및 사업 현황

 
우듬지팜의 2023년 기준 매출은 토망고 80.4%, 토마토 및 기타 19.6%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충청남도 부여군 스마트팜 원예단지 내 약 11ha(약 3.3만평)의 스마트팜 온실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 중 6.7ha는 국내 최초의 반밀폐형 유리온실 스마트팜입니다.
 
반밀폐형 유리온실은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하고 병충해 유입을 차단하여 생산성을 약 30% 향상시키는 시스템입니다.
 

투자 포인트

 

1. 스마트팜 시공 사업 진출

 
우듬지팜은 2023년 11월 우듬지이엔씨의 주식 51%를 10억원에 인수하며 스마트팜 시공 사업에 진출했습니다.
 
2024년부터 수주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동사의 매출과 영업이익률(약 10%)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됩니다.
 
특히 2025년부터 서산 충남글로벌홀티콤플렉스 관련 스마트팜 시공 매출 발생과 함께 본격적인 성장이 예상됩니다.
 
충남글로벌홀티콤플렉스는 50ha 규모로 조성될 예정이며, 이 중 38.6ha가 스마트팜으로 구성될 계획입니다.
 

2. 제품 다변화 및 이익률 제고

 
우듬지팜은 2024년 하반기부터 자체 스마트팜을 활용한 제품 다변화와 이익률 제고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MGS(Mobile Gully System)를 적용한 유럽형 채소 온실을 10,000평 규모로 신축 중이며, 하반기부터 로메인, 버터헤드 등 유러피안 샐러드를 재배할 예정입니다.
 
이는 매출 확대와 이익률 개선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됩니다.
 

실적 분석

 
우듬지팜의 2021년 실적은 매출액 467억원(+101.4% YoY), 영업이익 87억원(+75.1% YoY)으로 역대 최대 영업이익을 기록했습니다.
 
2022년 실적은 매출액 449억원(-3.7% YoY), 영업이익 38억원(-56.4% YoY)으로 다소 감소하였지만, 2023년 실적은 매출액 566억원(+25.9% YoY), 영업이익 34억원(-12.1% YoY)으로 회복세를 보였습니다.
 

실적 전망

 
2024년 1분기 실적은 매출액 163억원(+9.3% YoY), 영업이익 10억원(-6.7% YoY)으로 분석됩니다.
 
대추방울 토마토의 가격 상승으로 매출액이 증가했지만 매출원가율 상승으로 영업이익은 소폭 감소했습니다.
 
2024년 연간 실적은 매출액 822억원(+45.3% YoY), 영업이익 58억원(+71.5% YoY)으로 역대 최대 매출액 달성이 예상됩니다.
 
이는 토망고 및 토마토 매출에 자회사 우듬지이엔씨의 시공 매출이 더해질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입니다.
 

주가 전망

 
우듬지팜의 주가는 2023년 9월 19일 SPAC 소멸합병상장 이후 PBR(Price to Book Ratio) Band 2.0x~4.0x 수준에서 형성되었으며, 현재 주가는 2024년 실적 기준 PBR 2.7x입니다.
 
이는 현재 주가가 PBR Band 중단에 위치한 것으로 분석되며, 향후 ROE(Return on Equity) 개선(2023년 4.4% → 2024년(E) 11.8%)으로 인한 재평가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상장 초 우듬지팜은 중동 국가와 MOU를 맺은 K-스마트팜 대표 주자로 주목받았지만, 이후 주가가 하락하였다가 최근 긍정적인 뉴스에 따라 변동폭이 확대되었습니다.
 
우듬지팜은 안정적인 지배구조와 혁신적인 스마트팜 기술을 바탕으로 꾸준히 성장해왔으며, 앞으로도 더욱 풍성한 결실을 맺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주식 투자에 있어 "긴 안목으로 바라보라"는 워렌 버핏의 조언처럼, 우듬지팜의 주가도 장기적인 관점에서 긍정적인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보입니다.
 

리스크 요인

 
우듬지팜의 매출 대부분은 스테비아 토마토 ‘토망고’와 토마토로 구성되어 있어, 소비자들의 토마토 수요 감소가 매출 변동으로 이어질 리스크가 존재합니다.
 
2023년 3월 쓴맛 방울 토마토 이슈로 방울 토마토에 대한 국내 소비자들의 선호도가 감소한 사례가 있습니다.
 
그러나 우듬지팜은 TY올스타 품종을 재배 및 유통하지 않아 직접적인 영향은 없었으나, 토마토에 대한 소비자들의 선호도 감소는 일시적으로 토마토 가격 하락을 초래했습니다.
 
우듬지팜은 이러한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하반기부터 유러피안 채소 재배 및 판매와 스마트팜 시공 사업을 본격화할 예정입니다.
 
이를 통해 토마토에 대한 매출 의존도를 점차 낮추고, 다양한 제품군을 통해 안정적인 매출 구조를 구축해 나갈 것입니다.
 

결론

 
우듬지팜은 스마트팜 기술을 바탕으로 지속적인 성장을 이루고 있는 기업으로, 안정적인 지배구조와 혁신적인 기술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2024년에도 매출과 영업이익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스마트팜 시공 사업과 유러피안 채소 재배 등을 통해 제품 다변화와 이익률 제고를 이룰 것입니다.
 
주식 시장에서도 긍정적인 평가를 받을 가능성이 높으며, 장기적인 투자 가치가 충분한 기업으로 평가됩니다.
 
"투자는 한 발 물러서서 큰 그림을 보는 것"이라는 속담처럼, 우듬지팜의 미래 성장 가능성에 주목하며 긴 안목으로 바라보는 것이 중요할 것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