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 주식 분석

심텍 주가 전망 실적 발표 2024년 목표주가 분석

by stockstraight 2024. 6. 5.
반응형
심텍 썸네일

 
심텍은 반도체 기판(PCB) 전문 제조업체로, 2015년 8월에 인적분할로 설립된 후 재상장한 신설 회사입니다.
 
설립 이전에는 심텍홀딩스의 인쇄회로기판 제조사업부문을 담당하였으며, 현재 글로벌 메모리 칩 제조사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그리고 패키징 전문기업 ASE, Amkor 등을 주요 고객사로 두고 있습니다.
 
이러한 고객 기반을 바탕으로 심텍은 안정적인 성장을 지속해오고 있습니다.
 
심텍의 주요 제품 중 하나는 패턴 매립형 기판(Embedded Trace Substrate, ETS)으로, 이 제품은 2016년에 세계일류화 상품으로 지정될 만큼 뛰어난 기술력을 자랑합니다.
 

목차

  • AI빅사이클 수혜주로 부상
  • 2분기 실적 분석
  • 주가 전망 및 목표주가

 

AI 빅사이클 수혜주로 부상

 
반도체 업계에서는 AI 디바이스의 발전과 더불어 반도체의 업그레이드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기판의 면적 증가 또는 층수 상승이 예상됩니다.
 
특히, 시스템반도체와 메모리의 용량 증가가 기판 수요를 촉진시키고 있습니다.
 
기판 수요가 높은 반도체 패키징 기술로는 FCCSP, SiP, MCP, BoC 등이 있으며, 이러한 기판들은 지난 1년간 극단적인 재고조정을 겪었습니다.
 
2019년부터 2022년까지의 기판 빅사이클 동안 FCBGA와 같은 제품군에는 큰 투자가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향후 업황 반등 국면에서 큰 수혜를 받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중저가 기판 군의 비중이 높은 기업들이 주목받을 것입니다.
 

2분기 실적 분석

 
심텍은 2024년 2분기부터 실적 반등이 예상됩니다.
 
영업이익은 10억 원으로 흑자전환이 기대되며, 매출액은 3,039억 원으로 전분기 수준을 유지할 전망입니다.
 
그러나 저부가가치 제품군인 BOC와 HDI 기판의 매출은 감소하고, FCCSP와 MCP 제품군의 수요가 회복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신규 수주 동향을 살펴보면, 2023년 3분기 말부터 반락했던 신규 수주 규모가 2024년 3월에 반등에 성공했습니다.
 
4월과 5월에는 각각 전월 대비 10%, 15% 증가하며, 이러한 수주 증가가 매출로 이어지는데 2~4개월이 걸린다는 점을 고려하면 2분기 말부터는 실적 반등의 가시성이 높아질 것입니다.
 
현재 주문 강도로는 2022년 수준의 호황을 기대하기는 어렵지만, 회복의 방향성은 뚜렷합니다.
 

주가 전망


심텍의 목표 주가는 4만 7500원으로 제시하며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우상향 실적 트렌드 지속

 
2023년 초부터의 극단적인 재고조정과 단가 인하에 따른 기저효과가 존재하고, 신규 수주는 증가 추세에 있습니다.
 

2. SSD 수혜주

 
AI 가속기와 서버에서의 NAND 수요 증가가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SSD용 HDI와 MCP 매출 비중이 47%에 달하며, SSD 컨트롤러 등을 고려하면 50%를 상회합니다.
 

3. 메모리향 매출 비중

 
심텍의 메모리향 매출 비중은 80%를 상회합니다. 이는 메모리 반도체 시장에서 심텍의 중요한 위치를 보여줍니다.
 

결론

 
심텍은 반도체 기판 제조에서 탁월한 기술력과 안정적인 고객 기반을 바탕으로 지속적인 성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특히, AI 디바이스의 발전과 함께 반도체 업그레이드가 이루어지면서 기판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투자자들은 심텍의 우상향 실적 트렌드와 SSD 수요 증가, 메모리향 매출 비중 등을 고려하여 매수를 추천할 수 있습니다.
 
심텍의 앞으로의 성장이 기대되며, 반도체 기판 시장에서의 리더십을 더욱 강화할 것으로 보입니다.
 
주식 투자에 관심 있는 분들은 심텍의 실적과 시장 동향을 주의 깊게 살펴보며 투자 결정을 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