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 주식 분석

두산밥캣 모트롤 인수 관련 밸류에이션 분석 및 주가 전망

by stockstraight 2024. 6. 13.
반응형

두산밥캣 썸네일

목차

  • 두산밥캣의 모트롤 인수 개요
  • 모트롤 인수의 시너지 효과
  • 단기 기업가치 영향 및 추가 M&A 기대
  • 주가 전망 및 결론

 

두산밥캣의 모트롤 인수 개요


2024년 6월 12일, 두산밥캣(241560)은 ㈜모트롤의 지분 100%를 2,460억 원에 인수한다고 공시했습니다.

 

인수 완료 시점은 2024년 9월 30일로 예정되어 있습니다.

 

모트롤은 주행/선회 모터, 펌프, 컨트롤 밸브 등 건설기계용 유압 부품을 전문으로 제조하는 기업으로, 최근에는 소형 건설기계까지 제품 라인업을 확장해왔습니다.

 

2023년 모트롤은 약 2,500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으나, 영업손실은 약 30억 원에 달했습니다.

 

모트롤 인수의 시너지 효과

 

모트롤의 유압 부품은 이제 소형 굴삭기에도 적용되기 시작했으며, 이는 두산밥캣의 소형 건설기계 제품 내 모트롤 부품의 납품 비중 증가로 이어질 것입니다.

 

이는 수직적 결합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또한, 기존의 굴삭기용 부품에서 로더 및 산업차량으로 제품 적용 범위가 확대됨에 따라 매출 및 이익 성장도 예상됩니다.

 

두산밥캣은 모트롤 인수를 통해 원재료 수급처의 다변화로 인한 생산 안정화 효과도 기대할 수 있습니다.

 

향후에는 건설장비의 전동화에 대비해 E-drive 기술 개발을 추진하며, 아시아 지역 외에도 매출처를 다변화할 전망입니다.

 

단기 기업가치 영향 및 추가 M&A 기대

 

모트롤 인수로 인한 두산밥캣의 단기 기업가치에 대한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모트롤의 실적이 2024년 4분기부터 반영될 것으로 보이며, 주요 고객사 중 중국 업체의 비중이 높아 중국의 건설기계 수요 회복이 더딘 상황에서 수익성 개선 효과가 미미할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입니다.

 

두산밥캣은 2024년 1분기 기준 약 1.8조 원의 현금성 자산을 보유하고 있으며, 모트롤 인수 이후에도 북미 등 선진 시장에서 비유기적인 성장을 위한 추가 M&A 기회를 지속적으로 모색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주가 전망

 

두산밥캣의 이번 인수는 한겨울의 씨앗 심기와 같습니다.

 

겨울에 심은 씨앗은 곧바로 싹을 틔우지 않지만, 봄이 오면 무럭무럭 자라서 풍성한 열매를 맺게 됩니다.

 

즉, 이번 모트롤 인수는 당장의 큰 변화를 가져오지 않더라도, 시간이 지나면서 두산밥캣의 성장에 중요한 밑거름이 될 것입니다.

 

또한, "위기는 기회다"라는 속담처럼, 현재 중국의 건설기계 수요 회복이 더딘 상황이 오히려 두산밥캣에게는 더 큰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도 모트롤 인수를 통한 기술적 및 제품적 확장을 통해 두산밥캣은 새로운 도약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결론

 

두산밥캣의 모트롤 인수는 단기적으로 큰 변화나 성과를 기대하기 어렵지만, 중장기적으로는 두산밥캣의 제품 라인업 확대와 생산 안정화를 통해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두산밥캣의 현금성 자산과 추가 M&A 기회를 통해 북미 등 선진 시장에서의 비유기적 성장을 지속적으로 추구할 계획도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이번 인수는 두산밥캣이 미래 성장의 발판을 마련하는 중요한 과정이며, 투자자들은 두산밥캣의 장기적인 성장 가능성을 주목해야 할 것입니다.

 

경제 전문가들은 두산밥캣이 향후 건설기계 시장에서 어떤 전략을 펼치고, 어떤 성과를 이루어낼지에 대한 기대감을 갖고 지켜보고 있습니다.

반응형